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VHS
- 8mm
- 레트로TV
- 소니만세
- 캠코더
- 필립스
- 파나소닉
- 비디오
- 비디오기기
- vcr
- 아날로그캠코더
- 비디오믹서
- 비디오테이프
- 소니
- 다이아몬드헤드
- LG전자
- 비디오변환
- mwstory
- 삼성전자
- 팩트체크
- SQPB
- MBC아카이브
- S-VHS
- 엠더블유스토리
- 브라운관TV
- Digital8
- DMCA테이크다운
- Video8
- 8mm캠코더
- HI8
- Today
- Total
목록2020/08 (8)
아무거나 적당히 운영되는 이상한 블로그

누군가는 삼성 다이아몬드 헤드는 화질을 저하시키는 기술이라고 주장합니다. 과연 사실일까요? 먼저 삼성전자 VCR 7대를 열어봐서 헤드드럼 모델명을 확인해봤습니다. 다이아몬드 헤드인 4ND, 6NDJ, MT4ND 다이아몬드 헤드가 아닌 2N, 6NA, 6NAJ, 6NJ 즉 헤드드럼 모델명에 D가 들어가면 다이아몬드 헤드, 들어가지 않으면 다이아몬드 헤드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6대의 화질을 비교해보겠습니다. 6NA (SV-DVD700/SQPB 지원) 6NAJ (SV-DVD630/SQPB 지원) MT4ND (SV-75D/SQPB 지원) MT4ND (SV-75D/SQPB 지원) + 외부 TBC 장비 6NDJ (SV-G877/SQPB 미지원) 4ND (SV-C533/SQPB 미지원) 2N (SV-G377V..

헤드 윗부분에는 하늘색 아니면 빨간색으로 뭔가 칠해저 있는데, 헤드를 조정한 다음 고정하기 위한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이 구멍은 헤드 수 만큼 있습니다.

VHS / 한국 출시 / 한국 콘서트 / 1999년 | VHS / 한국 출시 / 한국 콘서트 / 2001년 정말 운 좋게 저렴한 가격으로 손에 들어온 비디오테이프입니다. 이 비디오테이프는 국내에서는 흔하지 않게 아날로그 복사방지(매크로비전)이 걸린 비디오테이프입니다. 복사방지를 뚫고 고품질의 디지털 변환에 성공했지만 둘 다 유튜브 공개불가 콘텐츠로, 업로드시 오디오가 전세계 금지로 설정되어 있어서 미공개로 끝나게 되었습니다.

2000년대 기기는 90년대 기기에 비해 본격적으로 내부 부품들이 상당히 염가화 되었습니다. 이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과연 화질도 염가화 되었을까요? IMF 이전 1996년에 생산된 LV-670하고, IMF 청산은 물론 한일월드컵이 끝나고 아테네 올림픽이 있던 2004년에 생산된 LV-N43와 화질을 비교해봅시다. 물론 내부적인 차이도 상당합니다. 그런데 화질은 별 차이가 없네요? 둘 다 날카롭게 나옵니다. [개소리 팩트체크] 2000년대 기기는 90년대 이전 기기보다 화질이 나쁘다 개소리

틀딱들은 종종 이런말을 합니다. 명기의 메카와 같은 보급형 기기라도 화질이 좋다. 그런데 과연 사실일까요? 최근에 친척집에서 비디오기기를 한대 받았습니다. IMF 시대에 생산된 인도네시아산 LG전자의 VHS VCR LV-485입니다. 염가형 4헤드 기기로 딱 봐도 틀딱들에게 천대받게 생겼네요. 그리고 비교군은 IMF 이전 시대에 생산된 한국산 LG전자의 VHS VCR LV-670입니다. 3배 전용 헤드가 있지만 하이파이 스테레오를 지원하지 않는 6헤드 기기로, 틀딱들이 좋아하게 생긴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재미있는건 두 제품 모두 같은 메카를 사용합니다. 이 메카는 기본적으로 철판프레스이지만 제한적으로 다이캐스팅 부품을 사용하는 마지막 LG전자의 메카라는것이 특징입니다. 이 이후에 나온 메카는 완전한 철..

E4 (비디오 4헤드) D6 (비디오 4헤드 + 3배전용 2헤드) 2N8 (비디오 4헤드 + 3배전용 2헤드 + 하이파이 2헤드) 2N4M (비디오 4헤드) 5C6W (19미크론? 비디오 4헤드 + 하이파이 2헤드) 8C4W (19미크론 비디오 4헤드) (L)9C6S (비디오 4헤드 + 하이파이 2헤드) 이하는 사진이 없는 리스트 N (비디오 4헤드 + 하이파이 2헤드) N4 (비디오 4헤드) (B)5C4W (비디오 4헤드) 8C6S (비디오 4헤드 + 하이파이 2헤드) 9C6S (비디오 4헤드 + 하이파이 2헤드) (A)9C6S (비디오 4헤드 + 하이파이 2헤드)

어느 기기에서 사용되는 파일인데, 사진 파일로 보입니다. 일단 HxD로 열어봅시다. YCbYCr 이라는 걸로 봐서는 YUV계통의 사진 파일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잘 보면 Y가 2번 나옵니다. 이건 4:2:2 타입의 YUV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이걸 그렇게 만든거지? 아무튼 0A~0D값으로 가로 세로값을 알아내고 파일을 RAW로 개조하고 RawViewer로 찔러보니 해당 파일은 YVYU 타입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한번 자동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봅시다. 그런데 문제는 YVYU to RGB의 외부 모듈이 없어서 그냥 대충 만들어야 했습니다. 일단 YVYU에서 순서가 다른 YUY2 to RGB를 http://minnimok.egloos.com/5161623 에서 찾아서 구현을 해둡니다..

가끔 나이먹은 사람들이 ~인치 이상 또는 ~인치 이하에서 시청을 권장한다는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인치 관련은 2020년 현대에는 사실상 의미가 없습니다. 과거 TV용 디스플레이는 인치수에 따라서 해상도가 결정되었습니다. 브라운관은 해상도를 정확하게 알려주지 않았는데 보통 인치수가 클수록 해상도가 올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인치 이상 시청을 권장한다는 의미는 가능한 해상도가 높은 디스플레이로 시청해주세요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략 25인치 이상을 권장하는 경우는 TV용 브라운관을 기준으로 하는데, LD와 DVD가 속하는 480i/p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25인치 이하를 권장하는 경우는 VHS 같이 해상도가 상당히 낮은 경우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현..